2월, 2019의 게시물 표시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이미지
영화 스물을 보면 이런 대사가 나온다. "거 좀 힘들다고 울어 버릇하지마. 어차피 내일도 힘들어." "사람들이 우리 보고 좋은 때다 좋을 때다 그러는데, 애매하게 뭐가 없어. 힘들고, 답답하고. 그런데 어른들은 배부른 소리라 그러지."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이 소설은 위 대사와 똑같이 "애매하게 뭐가 없이" 살다가 인생을 낭비한 여러 종류의 사람들의 대한 이야기이다. <오늘 나는 아무것도 아니다.> 깊이 통감했다. 세상엔 성공하는 일보다 해도해도 안되는 일이 더 많다는 것을. 실패를 거듭하면서 '내가 실패했다'는 사실에 실망조차 하지 않게 되면, 사람은 원초적인 욕망과 비관만을 남겨두나 보다. 이 소설 속 모든 단편의 주인공이자 화자들의 겉은 허허실실 문제없는 듯 보이지만 속은 이미 곪아서 사라졌다. 하루하루 무기력하게 성적 욕망이나 채워가면서 살아가는 '나'와 육체적 사랑으로 돈을 벌어 본인 나름의 플라토닉 러브를 위해서 돈을 쓰는 제제, SNS스타로 살아가지만 SNS 간판만 있는 애정결핍자 소라, 본인은 아이돌로서 실패했음을 알고도 다시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성공을 꿈꾸는 만년 연습생, 사이비 종교에 탐닉한 보호자를 배신한 아들까지. 이들은 모두 사회가 정해놓은 주류의 삶에 편승하지 못했다. 그들은 사회에 대한 불만과 답답함을 성적인 쾌락이나 술, 사이비 번영신앙에 대한 헌신으로 표출한다. 그럼에도 그들의 정신적 공허함은 아무리 육욕을 해소해도 사라지지 않는다. 마치 그들은 이 세상에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태어났음을 증명이라도 하듯 세상에 표효하는 것처럼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 소설 속 인물들은 하나도 빠짐없이 희망찬 미래를 그리지 않는다. 고난 뒤에 행복이 온다는 말, 그들에게는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선천적으로 동성을 사랑하도록 태어났든, 영화 감독이 되어 보겠다고 여기저기 들쑤시고 다니든

The gill, Korean novel review

이미지
"I love you by not caring you." From Hogoblin(Korean drama) Despite confusing, historical situation that ancient Korea was the place of fighting among aristocrats, the King didn't show affection to his brother. Rather, he was excluding his brother. But it was reversal expression to show his affection. What an irony. As a spoiler of the narrative of "The Gill", Kangha hates Gone and Gone was grown by himself without any attention. Because of Gone's spectacular, weird physical characteristic which Gone has gilis to breathe in the water, he could not be opened to villagers and be regarded as a mysterious guy. Gone is a kind of fishman which can live both in the airy places and watery places. So his scales are shown glitter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sun is moving as the time goes by. The gili became the main reason why Kangha hated Gone. The motive source which Kangha tortured Gone was coming from jealousy. He was so jealous that he sweared at G